목숨 걸고 편식하기 사람은 모름지기 사람을 잘 만나야 한다. 친구 따라 강남을 가는 게 아니라 길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 에 따라 황천행이 될 수 있고 천국행이 될 수 있다. 21세기는 정보다. 정보는 도서관이다. 오늘 여기 올린 글을 읽으면 무엇인가가 가슴에 들어오는 것이 있을 것이다.
21세기는 식과의 전쟁이다. 무엇을 먹느냐? 에 따라 내 몸이 천국이 될 수 있고 지옥이 될 수 있다. 쇠고기에 목숨 거는 것보다 건강한 음식 하나 잘 챙겨 먹는 게 남는 장사다.
무엇을 먹느냐? 초원을 한 번 보자. 말과 사자를. 말은 풀을 먹는다. 사자는 고기를 먹는다. 주로 육회를 먹는데, 정 없으면 간혹 상한 육고기도 뜯는다.
말과 사자가 다른 점은, 풀을 먹는 말은 천 리를 달린다. 대신 육회를 주로 먹는 사자는 죽자사자 뛰어야 한 5백 미터 정도 달릴까. 우리 인간은 말과 닮은꼴이다. 마라톤을 보아도.
이 프로를 보면서 그래, 편식에 목숨을 걸자. 그래서 내 고질병인 고혈압을 한번 잡아보자. 현미와 채소 그리고 과일로. 원래 나는 채소 체질이다. 사회에 나와 워낙 화를 많이 만나다 보니 골이 부어 혈압이 높다. 혹시 나를 죽이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나를 화나게 만드면 된다. 주로 정치문제를 가지고. 가령 이명박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구할 지도자 중에 지도자 라고 열을 내면 내 머릿속은 금방 꽈리가 된다. 하지만 조심해야 할 것은, 만약 내가 가야 하면, 나 혼자 골로 가는 게 아니라 같이 가자, 하고 손목에 수갑을 채울지 모르니 알아서 기야 한다.
혈압만 없으면 된다. 한번 잡아보자. 해서 다음 주부터 편식에 들어간다. 이 글은 나와 같은 성인병에 골골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이곳에 올린다. 이 글을 보고 나서 박수 한번 쳐주기 바란다. 개똥이 소똥이들에게는 없는 글이다. 인간성이 션찮으면 이런 것 얄절 없다. 나 혼자 잘 먹고 잘 살기 운동에 매진할 것이다. 자고로 사람은 사람을 잘 만나야 한다. 200979장대비가 쏟아지는 초여름에.
| |||||||||||||||||
'목숨 걸고 편식하는 세 남자 이야기'라는 한겨레신문 TV 프로그램 소개에 끌려 지난 금요일 밤에 MBC 스페셜을 시청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고기, 우유, 생선, 계란을 금기 식품으로 삼고 있는 세 남자 이야기입니다.
한 남자는 고기, 우유, 생선, 계란을 안 먹는 식생활로 말기 직장암에서 살아난 남자(송학운, 60세)이고, 다른 한 남자는 담당 의사의 말을 듣지 않고 신장 이식 수술 후에 면역억제제를 끊고도 멀쩡히 살아 있는 남자(이태근, 59세)입니다.
두 남자 모두 과거에 수술을 담당했던 대장암 전문의 김광연 박사와 40년 경력의 신장이식 권위자 박기일 박사로부터 "의학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일"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심지어 박기일 박사는 다른 환자들이 절대로 따라하면 안 된다며 프로그램 제작진에게 신신당부를 하는 장면까지 나옵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에 함께 출연한 세 번째 주인공은 다른 두 남자에게 일어난 기적을 십분 이해하는 신경외과 의사 황성수(59세) 박사입니다. 자기 환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 늘 고기, 생선, 우유, 계란을 안 먹어야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염불 외듯이 말하는 의사입니다. 서양의학을 전공한 의사로서 보기 드물게 약보다 밥에 더 신경 쓰는 별난 의사입니다.
음식으로 못 고치는 병은 의사도 못 고친다
통계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 등 생활습관병 환자가 천만 명(1130만명)을 넘어서고, 30대 이상 성인 3명중 1명은 생활 습관병 환자라고 합니다. 의료기술은 점점 좋아지는데 환자들은 점점 늘어나는 현상에 의문을 품은 그는 오랜 연구 끝에 생활습관병의 원인이 식습관과 관련이 있다는 단서를 발견하고 자신의 몸으로 직접 실험을 해 봅니다.
91년부터 현미밥과 채식을 하면서 자기 몸이 달라진다는 것을 느꼈고, 1년간 본인 실험 후에 가족들을 거쳐 환자에게 적용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지금 그는 자기 환자들에게 '멸치'도 먹지 말라고 강조하는 철저한 '채식' 중심의 '식이'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뼈에는 멸치를 먹으면 오히려 해가 되요. 고기, 생선, 우유, 계란을 먹으면 뼈가 약해져요. 그건 틀림없어요. 우유를 먹으면 뼈에 좋다 하는 말은 그건 사실이 아니에요."
"단백질 섭취량이 많으면 여러 가지 병이 생깁니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 필요합니다만 적게 필요합니다. 많이 먹으면 문제가 생깁니다. 고기, 생선, 계란, 우유에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서 몸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많이 들어 있음으로 해롭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고단백 식품이 아니라 과단백 식품입니다."
그는 단백질, 특히 동물성 단백질 과다 섭취가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고혈압, 당뇨병, 암 모두 단백질 과다 섭취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이 세 가지 암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걸리는 암인데, 모두 고기, 생선, 계란, 우유하고 관계있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뇌혈관병이라고 중풍, 심장 혈관병인 협심증, 심근 경색증도 역시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환자들은 과다한 단백질 섭취를 줄이면 눈에 띄는 치료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방송에 나온 그의 환자들은 동물성 단백질을 완전히 끊는 식이치료를 통해 평생 동안 먹어오던 고혈압, 당뇨약으로부터 벗어나 건강을 회복합니다.
"땀 안 나게 하려면 약을 쓸 것이 아니라 몸을 시원한 쪽으로 옮겨가버리면 되지요. 혈압도 마찬가지입니다. 혈관이 좁아지면 혈압이 올라가거든요. 혈관을 넓혀 줘 버리면 혈압은 아주 쉽게 내려갑니다. 땀을 약으로 말리면 안 되듯이 올라 간 혈압을 약으로 내리는 것은 많은 해가 되지요."
혈압약 필요 없다, 현미밥이 약이다
현미밥에 오이, 연근, 잡채, 고들빼기김치, 국에도 멸치 한 마리 들어가지 않은 된장국이 환자들을 위한 식사입니다. 황 박사는 "이렇게 먹으면 동물성 식품이 좁혀놓은 혈관을 현미밥이 넓혀준다"고 합니다. 현미밥은 단백질 칼로리 비율이 8%로 막 태어난 아기가 먹는 엄마젖 단백질 비율 7%보다 높기 때문에 현미밥만 먹어도 단백질 섭취는 충분하다고 합니다.
석 달째 황박사의 식이치료를 받고 있는 이우연(83세) 할머니는 뇌경색으로 어지럼증을 호소하여 병원을 찾았다고 합니다. 이 할머니는 치료 20여일 만에 정상혈압으로 돌아왔고, 12년간 먹던 혈압약을 끊고 지금은 혼자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좋아졌다고 합니다.
40년간 고혈압과 당뇨를 앓아온 남노귀(84) 할머니는 아예 걷지도 못하셨지만, 입원 두 달 만에 당뇨수치도 정상으로 혈압도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방송에 황 박사 몰래 혈압약을 숨겼다가 들켰던 신옥희(80세) 할머니 역시 4년간 먹던 혈압약, 당뇨약 다 뺏기고 현미밥에 올인한 덕분에 곧 퇴원을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팔십을 훌쩍 넘긴 세 할머니 모두 한 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을 먹어야 한다는 혈압약, 당뇨약을 끊고 건강을 회복한 기적 같은 체험을 한 분들입니다. 황박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식이치료가 오랜 시간이 지나야 효과가 나타날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빨리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음식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혈압약을 드시고 있는 상태에서 130~140이 나와요, 이래서 혈압약을 끊으면 입원 둘째 날, 셋째 날, 넷째 날, 다섯째 날까지 150~160까지 혈압이 올라가잖아요. 혈압약을 끊으면 혈압이 올라가지요. 자연스런 현상이지요. 그 다음부터 며칠 지나면서 식이요법의 효과가 나타나지요. 혈압이 서서히 내려가지요."
황 박사는 고기, 생선, 우유, 계란을 끊고 현미밥과 채식을 중심으로 하는 식이치료를 하면 불과 일주일만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그는 음식으로 못 고치는 병은 의사도 못 고친다는 히포크라테스의 말을 따르는 '편식'으로 치료하는 의사입니다.
|